사회, 지방, 농촌

기자실의 유래

두 아들 아빠 2007. 5. 23. 16:11

아주 오래전에 1군사령부 예하에 7사단 지역의 수리봉이라는 산꼭대기에 일개 중대 병력이 주둔하고 있었는데 위치는 철책에서 좀 멀리 떨어진 곳이나 해발 1천M가 넘는 고지다.


여기에 1군 사령부 전체에서 아주 꼴통들만 모아서 부대를 형성했다. 중대장부터 이등병까지 최고의 꼴통을 모아 놓았는데 정식명칭은 ‘사고자중대’였다.


지금은 군대 부적응 자를 제대를 시키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못했다.

이들 꼴통끼리 모아 놓으니 나름대로 질서가 잡혔다고 한다. 이를 전격 응용한 것이 ‘기자실’이다.


5공 때 출입기자실을 활성화 한 이유는 꼴통들을 한데 모아 놓은 일이다. 먼저 기자들을 출석 불러서 꼼짝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가령 원하지 않은 기사가 나갔다 치자 ‘이거 왜 이렇게 했어’ 라고 면전에서 따지기 좋다.

그동안 밥 먹고, 술 마시고, 같이 뒹군 게 얼만데...


기자실 간사의 의견이 곧 정론이 되어, 기사는 획일화 될 수밖에 없었다. 언젠가 모든 신문이 그렇고 그런 이유가 기자실 확대 운영 이후로 보면 된다.


사건을 보는 시각의 획일화를 신문이 만들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같은 사건이라도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서 정반대가 될 수가 있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신문은 똑 같은 논조였다. 지난 4년간은 ‘획일’을 넘어서 ‘고착’된 기사를 내보냈다.


꼴통끼리 모아 놓으면 나아지는 것이 아니라 더 꼴통이 되어서 결국 그 ‘사고자중대’는 해체를 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자정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언론의 자유가 보장된 나라에서 있을 수 없는 일이나 IMF를 예견한 언론은 단 한 군데도 없었다. 오히려 이를 예견한 사설 연구소에 정부가 압박을 가한 적도 있다. 그렇다고 이 사실을 보도한 언론은 없었다. 아직까지 말이다.


계몽주의 사조인 초창기 언론인은 그 시대의 지식인 이었다. 이제 신문사의 기자나 논설 자를 이 시대의 지식인이라고 하지 않는다. 국민은 그들의 어줍지 않은 계몽주의적인 사설을 읽으려고 하지 않는다.


현대의 의식 있는 국민은 보도의 수위를 조절하거나, 의도를 둔 담론을 형성하려는 짓거리를 원치 않는다. 먼저 ‘사실보도’를 원한다. 다음에 ‘공정한 담론 향성’과 여력이 있다면 ‘수준 높은 예측 기능’이 갖추면 더욱 좋아 할 것이다.


이번 기자실 통폐합 운영은 늦었지만 관행에 철퇴를 가한 용기 있는 일이며, 사이버시대에 걸맞은 당연한 조치이고, 패거리 기사를 없애는데 일조를 한 언론의 대개혁이다. 이를 반대하는 세력은 ‘반개혁 세력’으로 규정지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