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의 자살 일반인의 자살도 그 주변 사람들에게 끼치는 영향과 충격이 대단한데 대중의 주목과 사랑을 받고 있던 연예인의 자살은 사회적으로 여파와 파장이 크지 않을 수 없다. 우선 연예인이란 동료와 친구는 있어도 직장이나 사업처럼 파트너 의식으로 인한 여러 사람이 서로 기대고 힘을 주는 대는 한계가 .. 삶의 단상 2010.06.30
6.25는 김구 선생님의 첫 기일 불후의 명작 ‘누구를 위해서 종을 울리나’는 스페인 내전을 소재로 하고 있다. 죽음의 숫자로 전쟁의 참혹함을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스페인 내전의 추정 사망자는 전쟁으로 30만망, 테러와 보복으로 10만, 기아로 63만이 사망하여 약 100만명으로 보고 있는데, 6.25 전쟁으로 희생된 사람.. 역사 2010.06.25
아들 친구의 죽음 내가 존경해 마지않는 학자분이 내 집에 오셨다. 두 아들이 그분과 내가 함께 한 탁자에 바짝 다가앉은 것은 아내가 정성스럽게 깎아 놓은 과일 때문만은 아닐 게다. 전날 큰 아들은 짝의 주검을 보았다. 며칠 전 우리 집에서 파 닭을 같이 먹고 간 아들 친구의 죽음에 아들만큼은 아니어도 나도 눈물이.. 삶의 단상 2010.06.20
전문화가 개인과 관계성에게 끼친 영향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는 개인이 거의 모든 것을 다 해냈다. 여러 가지 농사도 짓고, 옷도 만들고, 일상생활이 필요한 거의 모든 것을 만들기도 했으며 여러 사람이 힘을 합치기는 했으나 자기 집도 지었다. 그야 말로 의식주 전체를 망라해서 만능이었다. 그러다 산업화와 기술의 발달은 분업과 전문.. 삶의 단상 2010.06.04
왜 아들들은 차 문을 부서져라 닫을까? 가끔 출근 때 작은 아들이나 큰 아들을 학교까지 태워다 주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차에 내려서 하는 행동은 둘이 사뭇 다르다. 작은 아들은 택시비도 안 주면서 나를 마치 택시기사 취급하며 뒤도 돌아보지 않고 자기 갈 길을 걸어간다. 내 차가 후져서 그런가? ... 반면에 큰 아들은 문을 닫고 고개 숙.. 가정 2010.06.02
4대강 사업의 당위성과 위험성 -환경적 측면 고수부지에서 경작을 금지 시킨 것 일은 고무적이며 이 점 하나만은 4대강 사업의 당위성이 나름 있다고 본다. 자연이나 인공적인 여과 장치도 없어 강 바로 옆에서 농사를 지으면 비료와 농약을 치게 되고 이것들이 빗물에 쓸려 강이 오염되기 때문이다. 법적으로 '.. 사회, 지방, 농촌 2010.05.31
부여 금강변의 반조원리를 아십니까? 아래 그림은 지금으로 부터 약 250년 전에 부여군 세도면 반조원리를 배경으로 한 겸제 정선의 산수화다. 절벽 우측은 금강인데 오늘 어렵사리 그 곳을 찾아 갔다. 현재는 아무도 살지 않고 있다. 위 그림에는 보이지 않는 맨 좌측 가옥의 대문이다. 그림과 비슷한 앵글을 잡으려고 했지만 불가능했다. .. 사회, 지방, 농촌 2010.05.08
삽자루에 맡긴 한 생애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정 희 성 흐르는 것이 물뿐이랴 우리가 저와 같아서 강변에 나가 삽을 씻으며 거기 슬픔도 퍼다 버린다 일이 끝나 저물어 스스로 깊어가는 강을 보며 쭈그려 앉아 담배나 피우고 나는 돌아갈 뿐이다 삽자루에 맡긴 한 생애가 이렇게 저물고, 저물어서 샛강바닥 썩은 물에 달이 뜨.. 노무현 2010.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