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선호는 하류사회로 가고 있다는 증거 관련 기사 국가직 9급 공무원 경쟁률 82:1 사상 최대 우리 사회가 공무원과 교직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가고 있다는 사실은 경제가 침체되고 활력을 잃어 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 양극화라는 경제 사회구조에서 피해 갈 수 있는 안전지대가 공직과 교원들이다. 하류사회의 이유가 '중산층의 .. 사회, 지방, 농촌 2010.04.08
이놈의 집구석 남편이 문제다! 책 출간 참 오래 걸렸습니다. 주문 클릭.................................................................................... 이놈의 집구석, 남편이 문제다 2007년 4월12일 한 블로거가 대한민국 인터넷 세상을 흔들었다. 작은아들이 수학여행가서 찍어온 식판 사진을 보고 분노한 아버지는 사진과 함께 관련 글을 자신의 블로그에 .. 가정 2010.04.05
지난 토요일에 초대 받은 별장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마치시고 지방에서 고즈넉하게 지내시려고 별장을 지으신 그레이스 신사분이 있다. 키도 훤칠하시고 미남이시다. 그분의 사모님이 허락하신다면 그레이스 신사 앞에 ‘로맨스’를 넣어도 될 분이다. 인터넷 덕분에 전혀 만날 수 없는 사람끼리 만나서 마치 오랜 친구들처럼 지낸.. 가정 2010.03.30
동해는 강릉 택시기사, 서해는 까나리 어부가 지킨다. 북한잠수함은 택시기사가, 침몰 초계정은 까나리 배 어부가, 새삼스럽게 대한민국 군대와 지휘자를 폄하하거나 조롱하자는 것이 아니라, 정치인이나, 지도자라는 사람들은 국민을 우습게보지 말라는 뜻이며 군대라는 조직의 본질을 말하고자 한다. 그렇다고 보면 이글의 제목은 영락없는 낚시용이 .. 사회, 지방, 농촌 2010.03.30
연속적인 자살이 베르테르 증후군이라고? 베르테르 증후군이라는 말은 괴테 당시에 나온 말이 아니라, 1974년 미국의 사회학자 데이비드 필립스가 한 말이란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1774년에 출간 되었는데 정확히 200년 전의 책 제목에서 따 온 그의 아이디어가 연구보다 더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36년 전의 미국 사.. 사회, 지방, 농촌 2010.03.29
결국엔 질 좋고 값싼 미국산 쇠고기를 먹게 될 것이다. 글 제목은 이명박 대통령이 광우병우려 미국산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는 국민 촛불시위 때 하신 말씀입니다. 작년에 IMF 이후 경제 성장이 최저이고, 2년간 국민소득이 내리 줄었다고 합니다. 한국은행 총재는 마지막 보고에서 가계부채가 엄청 늘었다고 보고했다고 합니다. 그랬더니 대통령께서 '예의 .. 경제 2010.03.26
의무급식! 그 시작은 10대에 대한 주목과 배려 역사의 진행에 있어서 아주 우연한 한 사건이 봇물 터지듯이 불거져 역사의 방향을 틀어 버리기도 한다. 이번에도 비슷한 사건이 터졌다. 급식비 지원 삭감은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에 대한 딴죽걸기로 시작되었다. 추경에 상정된 3657억원 중 김상곤 경기도 교육감의 핵심 공약(무상 급식·혁신학교·.. 교육 2010.03.23
무소유의 불행 무소유의 불행! 2006년4월 말 따사로운 봄날인 토요일 우후에 동화나라(일산 어린책 전문점)에서 출판단지(아시아 정보문화센타) 안에 책 벼룩시장을 열었습니다. 작은 아들과 집에 있는 책 중에서 다 읽은 책을 20여권 가지고 가서 판매했습니다. 이 책이 마지막으로 딱 남았습니다. 뭔가를 계속 채워야.. 문화, 취미 2010.03.20
책 한 권도 없는 연예인들의 화려한 집 몇 칠전에 병원에 갔다가 기다리는 동안에 텔레비전을 보았다. 연예인의 집을 소개하는 프로인데 집 전체가 아주 화려한 인테리어에 깔끔하게 정리된 수납장, 그리고 깜찍한 아이디어의 조명과 아름답기 한 식탁 세트 등등 집안 전체가 주부 이상의 전문가적 손길이 속속히 배어 있었다. 그런데 텔레.. 문화, 취미 2010.03.20
고대녀 김예슬양의 자퇴 선언과 전태일 분신 올해 대학입시에서 고대에 입학한 학생들은 가족과 친지, 주변의 아는 사람들로부터 칭찬과 선망의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고대가 어떤 곳인가! 현직 대통령이 나온 소위 잘나가는 대학이다. 그런데 그 대학을 다니는 여학생이 자기 학교 후문에 대자보를 걸고 자퇴를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역사의 진.. 교육 2010.03.14